본문 바로가기

좋은, 참 좋은-

삶이 허무하게 느껴질 때

 

 



삶이 허무하게 느껴질 때가 있다.
모든게 다 부질없는 거 같고
'나는 도데체 왜 사는 거지?'라는
존재론적인 질문이 떠오를 때가 있다.
이런 허무감은 왜 찾아오는 걸까?

인간은 '의미'를 찾는 동물이다.
미국 콜로라도 주립대학의 심리학자
마이클 스티거(Michael Steger) 등의 연구에 의하면
인간은 어디에서든 의미를 발견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자연 재해, 질병, 예술 작품, 결혼 등에서 의미를 찾듯
사람들은 자신의 삶에 대해서도 의미를 찾고 싶어 한다.
스티거는 삶의 의미를 찾는 행동이
내가 얼마나 가치있는 사람인지,
내가 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이고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 지에 대한
답을 찾는 것과도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고 이야기 한다.

의미감의 핵심은
내 삶이 중요하고
나란 존재가 덧없지 않다는 믿음이다.

특히 삶이 힘들 때,
큰 실패를 맛보거나 믿었던 사람에게 발등을 찍힐 때,
기존에 내 삶을 의미있게 해 준다고 생각했던
중요한 일들이 갑자기 사라졌을 때
우리는 '의미의 공백'을 느끼게 된다.
이것이 바로 허무감이다.

허무감이 찾아올 때
보통 '이게 다 무슨 의미가 있지?' 같은 생각을 하게 된다.
이렇게 허무감이 밀려올 때조차
여전히 내 삶은 많은 의미를 가지고 있다고 느낄 수 있는 사람들은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건강하고 행복하며
심지어 더 오래사는 경향을 보인다.

2차 대전 나치 수용소에서 힘들게 살아남은
심리학자 빅터 프랭클(Victor Frankl) 은 저서 '죽음의 수용소에서'에서
그런 상황에서조차 절망하지 않고
여전히 내 삶은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 사람들이 살아남았고
그렇지 못했던 사람들은 몸 이전에 마음이 죽어버려
살아있는 시체가 되었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어떻게 하면 내 삶이 허무하지 않으며 충만하다는 느낌을 가질 수 있을까?
플로리다주립대학의 심리학자 로이 바우마이스터(Roy Baumeister)와
미주리대학의 심리학자 로라 킹(Laura King) 등의 연구에 의하면
종교, 봉사 활동, 양질의 인간관계 만들기, 사람들에게 사랑을 나눠주기,
소소한 즐거움 등이 큰 도움이 된다.

의미라고 하면
뭔가 거대하고 중요한 일만 해당이 될 거 같지만
실제로 사람들이 언제 자신의 삶이 의미있다고 이야기하는지 보면
무엇을 성취했을 때 보다도 '행복할 때'이다.
또한 '외롭지 않을 때,
또 계속해서 자신의 힘으로 뭔가를 하고 있을 때이다.

심리학자 대니얼 길버트 역시
사람들은 '편해지면' 행복해질 거라 생각하지만,
우리는 무언가에 잔뜩 빠져 마음이 움직이고 있을 때
행복하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의미감의 반대는 '무관심'일지도 모르겠다.

특히 봉사 활동의 경우
꾸준히 사람들을 만나게 해준다는 점에서
외로움을 줄여줄 뿐 아니라
자신이 여전히 어딘가에 필요한 사람이라는 느낌과
누군가에게 도움이 되는 가치있는 일을 한다는 점에서
자존감과 삶의 의미감을 동시에 높여 주는 효과가 있다.

사랑을 주는 것은 장수와도 연결된다.
어떤 사람들이 장수하는지 보면
나이가 들어서도 가족이나 친구 같은 주변 사람들에게
꾸준히 관심을 갖도 사랑을 주는 사람들이
그렇지 않은 사람들에 비해 자신의 삶이 의미있다고 느끼며
더 오래 산다는 연구 결과가 있었다.

누군가 나를 필요로 하고
내가 아끼는 존재가 있을 때,
그렇지 않을 때에 비해 더 살맛이 나고
이 땅에 더 오래 머무르게 된다는 것.

'만들고 가꾸는 행동' 역시 큰 도움이 된다.
요양원에서 노인들을 대상으로 관찰했더니
작은 일이지만 스스로 '화분'을 키웠던 사람들이
그렇지 않았던 사람들에 비해 더 행복해지고
신체도 건강해졌다는 발견이 있었다.

작은 일이라도 '내가' 직접 할 수 있는 일이 생길 때
우리는 내가 아직 쓸모있는 사람이라는 느낌과,
인생이 아직 살만하다는 활력을 갖게 된다는 것이다.

'뜨개질에서 발견한 사랑 (Love in Every Stitch)'라는 책에서
뜨개질에 대한 이야기를 본 적이 있다.
암에 걸려서 직장도 그만두고 이제 아무 것도 못할 것이라는
절망에 빠진 여성이 뜨개질을 배우고
목도리나 모자 등을 만들면서
아직 뭔가 할 수 있다는 희망을 느꼈다고 한다.
한 여성은 눈을 실명하게 되었고
그로 인해 이제 삶이 끝장났다는 절망에 빠져 있었는데,
우연히 뜨개질을 시작하게 되었고,
마침 어렸을 때 배웠던게 아직 남아있어서
보이지 않아도 뜨개질을 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마치 다시 태어난 듯한 기분이었다고 한다.

이렇게 아주 작은 것이라도 할 수 있는 일이 있다면
우리는 어떤 상황에서든 새로운 삶을 만날 수 있다.
여러분에게 작게나마 즐거움을 주는 소일거리는 무엇인가?
새로 배우고 싶은 것에는 무엇이 있는가?
작은 것부터 시작해 보자.

 


                  - 지뇽뇽 / 심리학 칼럼니스트 -

'좋은, 참 좋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들국화 / 김용택  (0) 2022.11.10
사람이 그리운 날 / 강초선  (0) 2022.11.10
오렴 / 백창우  (0) 2022.11.09
요즘엔 / 하상욱  (0) 2022.11.09
인연의 시작 / 최정재  (0) 2022.11.09